지원사업우수사례
더블에이치
우수사례 선정년도 | 2018년도 | 지원사업명 |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
---|---|---|---|
지원기간 | 2016. 5~2017. 4 | 과제명 | 스마트폰 앱으로 복부비만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LED 웨어러블 디바이스 |

직장인 K씨는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서만 일하고 퇴근 후에는 잦은 회식과 술자 리의 반복적인 일상을 보내고 있다. 그에 따라 늘어만 가는 뱃살을 보면 시름이 깊어진다. 운동을 할 시간적 여유도 부족하고 무엇보다 피곤하다는 이유로 운동 을 넘기기 일쑤였다. 그러던 어느날 우연히 보게 된 홈쇼핑에서 벨트모양의 허리 에 차는 다이어트기기를 발견하게 되었다. 책상에 앉아 일할 때 배에 착용만 해 주면 라이트테라피 기술로 지방분해가 된다고 하니 지친 직장인들에게 이보다 더 안성마춤 다이어트가 또 있을까. 당장 전화기를 들어 주문에 들어간다.


광치료 기법 개발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기술개발 배경은?
LED를 이용한 광치료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거의 없었다. 사람들의 소득수준이 올라가고 수명이 길어지면 당연히 멋있고 예쁘게 사는 것을 꿈꾸게 된다. 그러다 우 연히 ‘라이트 테라피’라는 기술을 접하게 되었는데 빛으 로 질병을 치료한다든가 미용쪽에서 많이 쓰이는 광 치 료 기법이다. 꾸준한 R&D를 통해 제품이 홈쇼핑에 소개되면서 많 은 이들이 신기해하고 혁신적인 제품으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주변의 반응은 ‘이게 될까?’ 반신반의 하며 우려 했지만 근래 대기업에서도 LED 마스크 제품을 출시하 면서 많은 사람들이 라이트 테라피에 대하여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기존에는 그런 기술들이 고가의 장비가 필요했고 다루기 위험했다. 그래서 병원측 의사들 위주 로 사용되다가 최근 5~6년 전부터 상대적으로 값이 저 렴하고 안전한 LED라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개인용, 가 정용 기기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이 대표는 4년 전부터 그 기술을 접하고 이것으로 헬 스케어나 뷰티케어 쪽으로 가정용 제품을 만들면 좋겠다 는 생각을 했다. 소비자들의 건강과 미용을 챙기는데 도 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제품 개발 과정상에 어려움이
많았을 텐데, 문제 해결은?
모든 벤처기업이 겪는 문제겠지만 자원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이다.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 전문가와 직원 을 완벽하게 구비하고 시작하기엔 무리수가 따랐다. 그 래서 주변의 기술관련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했던 것이 주효했다. 이렇게 협업을 하면서도 제대로 생산해서 첫 번째 제품이 출시되기까지 약 3년 정도 연 구 개발 생산 기간 동안 매출 없이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2016년도에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의 중소벤처기업부의 수행과제가 선정되면서 하나의 기 회가 생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LUMIDIET는 지속적인 개선과 품질 안정화를 통해 양산에 성공, 누적생산이 6 만대에 이른다. 새로운 브랜드이고 새로운 제품으로 국내외로 마케팅 한다는 것은 작은 회사로서는 굉장히 힘든 부분이고 현 재도 계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인력 충원에서도 고용 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2016년 7명에서 2017년 11 명 그리고 올해는 13명으로 꾸준히 인원이 늘고 있다.

제품 처음 출시 됐을 시 소감과
납품 과정에서 협업 진행과정은?
협업이 이뤄내는 장점은?
더블에이치의 대표적인 제품의 효능 및
마케팅 전략은?
더블에이치의 향후 계획은?
[ 더블에이치의 회사철학 ]
제 책상 옆에 자리하고 있는 명언이 있다. 무하마드 알리의 너의 꿈이 너를 두렵게 하지 않는다면 그 꿈 은 그다지 큰 꿈이 아니다. 즉 새로운 일에 대한 도 전은 미래를 알 수 없음에 두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그 두려움이 큰 꿈으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앞 으로도 가슴 떨리는 일에 도전하고 싶다.
2. 차별성
중소기업이 생각해야할 점은 결국은 제품의 차별성 과 혁신성이라고 생각한다. 처음에 어렵더라도 소비 자가 원하는 분야를 찾는 것이 중요하고, 찾았다면 이에 대해 남들이 하지 않는 모습과 방법으로 제품을 만들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3. 조화
LED 기술은 어떤 응용제품이냐에 따라 레시피가 다 르다. 사전 관련 논문 리서치, 자문위원들과의 논의 를 통해 최적의 레시피를 만드는 과정이 첫 번째이 고, 두 번째는 실제 소비자가 뭘 원하고 어떻게 사용 하는게 편한지, 살펴고 종합하여 컨셉디자인을 만든 다. 이런 진행 과정 중 모든 조건이 조화될 수 있도 록 노력한다.
더블에이치의 개발사업 성공 노하우
우리는 아직 성장 중이다. 그래도 우리의 팀 한사람 한사람이 오 너쉽을 가지고 나 혼자라도 글로벌 역량을 가진 이가 되야겠다 라는 각오 로 열심히 했다. 유통측 과의 많은 대화를 통해서 우리 제품이 어떤식으 로 판매될 수 있고 고객에게 다가가야할지 판매 접점에서의 목소리를 듣 기 위한 노력을 많이 했다. 교육이수보다는 현장의 판매 접점에서 들려오 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려 했다.
2. 혁신성
이미 세상에 있는 것에 우리는 도전하지 않는다. 기존에 없던 제품 을 만드는 혁신성을 중요시한다.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3. 편의성
기존의 실패했던 대다수의 제품을 보면 기술은 뛰어난데 기술을 가지 고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거나 가치 제공에 있어서 기술만 있으면 무엇이 든 해결될 것이라는 생각이 문제다. 제품이 성공하기까지는 여러 가지의 결합 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디자인, 편의성 등 소비자가 다양한 방면에서 만족 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편의성을 제공하는 부분을 많이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