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리스트 상세[보도자료] 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 사업 공고 | |||||
작성자 | 홍보전략팀 | 작성일 | 21/02/08 (15:34) | 조회수 | 2965 |
---|
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 사업 공고
□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기반조성을 위하여 대학·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시설·장비 및 서비스의 공동활용 촉진
□ 기업선도형 과제(기업당 최대 1년, 10백만원), 기반플러스형(기업당 최대 1년, 50백만원) 참여 중소기업 모집 (공고기간 : 1.28(목) ∼11.30(화), 주관 연구개발기관 접수기간 : 2.24(수) ~ 11.30(화), 운영기관 접수기간 : 2.10(수)부터 상시 접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반 조성을 위해, 2월 24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2021년 연구기반 활용플러스사업공고를 시행한다 밝혔다.
동 사업은 ’21년 신규사업으로 총 지원 예산은 83억원(기업선도형 20억원, 기반플러스형 63억원)이며, 바우처 형태로 이용료를 지원한다.
그간 중소기업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 지원을 통해 경제적·기술적 성과 등 다양한 우수성과를 창출해 왔다.
ㅇ ㈜테토스는 ’19년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집속이온빔장비(FIB-SEM), X선광전자분광기(XPS) 등의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을 확보하였으며, 매출액 증가 및 고용창출 성과를 거두었다.
* 매출액 : (´18) 64억원 → (´19) 100억원, 고용창출 : (´19) 6명(직접 2명, 간접 4명)
ㅇ ㈜옵토레인은 ’19년 한국나노기술원의 자동 자외선 노광기(8inch) 등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체외진단기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실시간유전자증폭(PCR) 검사기기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다.
2021년 연구기반활용플러스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 선택 폭 확대를 위한 연구시설·장비 서비스 강화 |
➊ 중소기업이 원하는 연구시설·장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장비관리시스템(ZEUS, 과기부)에 등록된 모든 공동활용 연구장비*를 바우처와 연계하여 활용한다.
* 연구장비관리시스템(ZEUS) 등록 연구장비 : 33,745점 (‘20.10 기준)
➋ 중소기업은 첨단기술개발을 위해 첨단연구장비(슈퍼컴퓨터, 방사선가속기 등)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첨단 인프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첨단연구장비 보유 기관 현황
- 슈퍼컴퓨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명대학교
- 방사선가속기 : 포항가속기연구소
연구장비 접근성 확대 및 효율적인 바우처 사용 지원 |
➊ 연구장비 공동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소기업을 위해 ‘R&D 인프라 연계 지원단’을 구성하여 중소기업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공동활용 연구장비 발굴 및 사용 등 애로사항을 해소한다.
* R&D 인프라 연계 지원단은 연구시설·장비를 보유한 운영기관의 사업 및 장비 담당자로 구성되며, R&D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보 중소기업 발굴 및 사업 홍보, 장비 보유기관추천, 연구장비 사용(시험·분석 등)에 관한 컨설팅 등을 지원
➋ 실수요가 있는 중소기업이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유효기간을 45일로 조정하고, 바우처를 50% 이상 환불한 기업은 차년도 사업 참여 제한을 통해 바우처 순환을 촉진한다.
➌ 중소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바우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하반기에 분할 발행*하여 바우처 조기소진을 방지하고 하반기 중소기업 수요를 충족한다.
- (상반기) 총 예산의 70%, (하반기) 총 예산의 30%
사업 신청은 2월 24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신청 가능(신청 기간 내 예산 소진 시 지원 종료)하며,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 및 연구기반공유시스템(https://rss.auri.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_2021년_연구기반_활용플러스_사업_공고(최종)(★).hwp (106.5 KB)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_2021년_연구기반_활용플러스_사업_공고(최종)(★).pdf (232.0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