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리스트 상세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 제목, 내용, 작성자, 조회수 등등

[보도자료] TIPA,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 협력R&D 추진
작성자 홍보전략팀 작성일 20/09/25 (14:52) 조회수 2802

TIPA,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 협력R&D 추진

- 권역별 거점대학 선정을 통해 중소기업 밀착·종합지원 환경 조성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 이하 ‘TIPA’)은 9월 23일(수),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권역별 거점 5개 대학*으로 구성된 ‘20년 산협력 거점형플랫폼(R&D) 운영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오공과대학교,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밭대학교


 


○ 산・학협력 거점형플랫폼(R&D) 사업은 지역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권역별 거점 5개 대학을 지정하고, 대학 內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산학협력 거점으로 개방・활용하도록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R&D) 사업 개요



 


(개요) 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지역중소기업에 개방, 산학협력 거점으로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기술 수준 향상 지원


(예산) ’2062억원


(지원내용) 기술역량 분석맞춤형 R&D지원의 총 2단계 지원


- 1단계(중소기업 기술역량 분석) : 전문가 매칭, 컨설팅을 수행하고, 중소기업-전문가 공동으로 중소기업별 맞춤형 지원전략 기획 (1개월, 2백만원)


- 2단계(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 1단계에 수립된 맞춤형 지원계획을 파견 인력과 대학 과제책임자를 중심으로 종합 지원 (2년, 3억원)



 


○ 이번 간담회를 통해, 운영기관 역할 논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


 


(운영기관 역할 논의) 거점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개방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개발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산학협력 거점으로서 운영기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R&D 생태계 조성방안) R&D 지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다양한 주체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교류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개방형 R&D를 위해서는 지역 거점대학 중심의 플랫폼 조성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이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향후 중기부-대학-기업-TIPA 등 기관들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소통채널을 강화하여 개방형 협력 R&D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 TIPA 이재홍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유기적으로 대응기 위해서는 지역 및 기술 기반의 거점(플랫폼) 중심의 개방형 혁신 R&D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 이라고 밝히며,


 


◦ “이를 위해 지역의 거점이 되는 운영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역량이 강화될 수 있는 산학연간 협업 파트너 네트워킹 조성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붙 임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R&D) 사업 개요



 


□ 사업목적 : 거점대학*에 구축된 기술개발 인프라를 혁신역량이 부족한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산학협력 거점으로 개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향상


 


* ‘20년 선정 운영기관(거점대학) : 금오공과대학교, 전북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밭대학교


 


□ 지원규모 : ‘20년 62억원


 


□ 지원대상 : 사업기간 동안 연구실에 연구인력을 1인 이상 파견이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 미보유 중소기업


 


□ 지원내용


 


◦ 기업은 사업수행 기간 대학 연구실에 1인 이상을 파견하고, 대학은 실험실·연구인력·장비·기술이전·교육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 1단계(중소기업 기술역량 분석) : 전문가 매칭, 컨설팅을 수행하고, 중소기업-전문가 공동으로 중소기업별 맞춤형 지원전략을 기획


 


- 2단계(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 1단계에 수립된 맞춤형 지원계획을 파견 인력과 대학 과제책임자를 중심으로 종합 지원


 


□ 지원조건 : 사업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단계별로 지원한도를 차등하고, 2단계 정부출연금은 총 사업비의 75% 이내


 


< 단계별 지원대상 및 지원규모>
























구 분



지원대상



지원과제수



지원기간 및 지원한도



(1단계)


중소기업 기술역량분석



대학에 1인 이상 파견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가 없는 중소기업



200개 내외



1개월,


2백만원



(2단계) 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1단계 기술역량분석을 받은 중소기업 중 종합지원이 필요한 기업을 선별



75개 내외



2,


3억원



담당부서소통홍보팀 담당자김민철 팀장 전화번호 044-300-0720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시나요?

페이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