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리스트 상세[보도자료]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환경 개선 시급 | |||||
작성자 | 홍** | 작성일 | 05/08/19 (12:08) | 조회수 | 5659 |
---|
2005년 8월 23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 보도자료 | |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
| ||
150-97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 한섬빌딩 6층 ㅣ Tel. 02-3787-0400 ㅣ Fax. 02-784-0509ㅣwww.kimi.or.kr |
■ 문의 : 정책연구부 팀장 장인성 연구원 곽후근 02-3787-0432 / F 02-784-0509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환경 개선 시급
-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분석결과 발표 -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양해진)은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연구」를 실시하여, 주요 조사연구 결과를 오는 8월 30(화)일 오후 2시에 대구 EXCO에서 개최되는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에서 발표한다.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연구」는 중소제조업의 제품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을 위한 정보화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제품개발 정보화 성숙도 모형을 개발하여, 기술혁신형중소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분석결과 중소제조업의 제품개발 정보화는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중소기업의 3D CAD 채택이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등 제품개발 정보화 환경이 열악하여 완벽한 제품정의 및 후속공정과의 원활한 연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둘째로, 표준부품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중소기업 비율이 대기업의 6배에 달하여, 신규사양 부품 추가 개발에 따른 원가상승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로, 종이도면에 승인하여 수작업으로 배포하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2배에 달하여 비효율적 업무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설계이력관리의 정보시스템 활용이 대기업과 외국계기업은 80% 수준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여, 생산오류 발생으로 인한 납기 지연, 불용재고 발생 등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정보화의 질적 수준 제고와 효율적 공동협력체계 구축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제품개발 정보화를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제품수명주기관리로서 인식하도록 하는 정보화 마인드 확산과, 불법기술유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힘든 공학 해석 등에 대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제품개발 정보화 솔루션 임대서비스 등 제품개발 정보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중소기업기술혁신세미나」 개최를 통해 주요 연구조사결과에 대한 업계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정보화에 의한 중소기업 제품개발 프로세스혁신 전략 및 정부정책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 중소기업 제품개발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첨부자료 1 참조
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중소기업제품개발프로세스혁신전략연구_050812).hwp (68.0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