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리스트 상세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 제목, 내용, 작성자, 조회수 등등

[보도자료] APEC 회원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특징 - APEC 중소기업 정보화실태 회원국가별 격차 심각
작성자 혁**** 작성일 04/07/13 (12:07) 조회수 6072

























 


중 소 기 업

정보화경영원

(http//www.kimi.or.kr)


보도
자료


담당과


정책연구부

혁신연구팀


담당자


전대성 팀  장

김종윤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3

(yavis7@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14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목


APEC 회원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특징

- APEC 중소기업 정보화실태 회원국가별 격차 심각 -




중소기업청(廳長: 柳昌茂)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院長: 白洛基)은 7월15일과 16일에 서울 강남 노보텔 앰버서더에서 개최하는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 정책포럼?에서 2003년에 실시한 ’APEC 회원국가의 중소기업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함




중소기업의 정보화 지원정책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의 특성과 그룹에 속하는 회원국가를 식별함으로써 그룹별 정책을 비교 분석




  ○ 그룹1 은 아래와 같은 중소기업정보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로서 미국, 일본, 대만 및 한국이 포함됨


   - 중소기업 정보화 성공사례와 정보화 필요성 및 혜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


   - 중소기업이 전자상거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과 인프라 정비 노력을 전개


   - 중소기업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자금지원


   -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현장기술지원 및 컨설팅 활동


   - 중소기업 e-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지원정책 실시 등




  ○ 그룹2는 중소기업의 정보화만을 위한 정책적 틀은 수립되어 있지 않고 각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로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홍콩, 싱가포르가 포함됨




   - 이들 국가는 정보제공과 IT 인력 양성 등 인프라 제고에 정책의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홍콩은 현장기술지원 정책, 호주는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 네트워크 지원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특징적임




  ○ 그룹3은 국가정보화 수준이 낮고 중소기업의 정보화에 대한 정책적 틀이 없는 경우로 그룹1, 2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들임.  이 그룹에 속하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 중국은 중소기업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과 중소기업의 정보 집적 및 공유 등을 위해 웹사이트 구축작업을 추진




   - 말레이시아는 중소기업지원 공공기관인 SMIDEC(Small & Medium Industries Development Corporation)을 설립하여 중소기업의 ICT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훈련, 자금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 태국은 중소기업 촉진 기관인 OSMEP(Office of Small & Medium Enterprises Promotion)가 중소기업의 정보화 요구에 대한 지원사업을 구상 중




   - 인도네시아는 BDS(Business Development Services) 및 CD-SME (Center for the Development of SME) 등의 기관을 통해 클러스터 방식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활동을 전개




□ 각국의 비정부기관은 중소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이 구현되며 다양한 형태의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다음은 지원 프로그램 사례




    - 캐나다의 e-Business Initiative : 중소기업의 사내 정보화 또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도입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 홍콩의 Vocational Training Council : 중소기업의 IT 전문인력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시




    - 일본의 IT Coordinators Association :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컨설팅을 통해서 현장에서 지원활동 전개




    - 미국의 e-Business Institute : 중소기업을 상대로 온라인 교육 및 각종 기술지원과 컨설팅업무를 기업의 필요에 맞게 제공




    - 호주의 ITOL (Information Technology Online) : 중소기업 e-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에 지원되는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자발적인 참여에 의하여 민간 중개기관을 형성




    - 대만의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CISA) 및 Taipei Computer Association (TCA) :  정부와 계약하여 자금을 지원받아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화 교육훈련 및 e-비즈니스 능력배양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전개함




국가 인프라와 사업환경 측면의 분석은 각 그룹의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APEC 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활용실태 조사를 실시




  ○ 조사는 10개 회원국가를 정보화 상위그룹(미국, 호주, 일본, 대만, 한국)과 하위그룹(중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으로 분류




    - 분석기준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활용 분석과 정보화 도입 준비도, 도입효과, 정보화촉진 영향요소를 포함




  ○ 하드웨어 중 종업원 1인당 PC 대수는 정보화 상위그룹이 하위그룹보다 2배 이상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하위그룹에서의 PC 절대가격이 대단히 비싸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 컴퓨터 보유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하위그룹 정부는 저가격의 국민 PC(Internet PC) 개발 및 보급, 컴퓨터 구입 자금 지원, 컴퓨터 구입시 세제 혜택 지원, 컴퓨터 수입 관세 인하 등의 정책과 중고 PC를 재활용하기 위한 APEC 영역 내 소기업간 제휴 프로그램 운영 등을 고려해야 할 것임




  ○ 소프트웨어 중 응용프로그램은 정보화 상위그룹이 평균 8개인 반면에 하위그룹은 1-2개에 그침




    - 하위그룹 중 멕시코는 정부입찰에서 ERP 도입 기업이 유리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중국은 세무서에서 납세 신고를 받을 때 컴퓨터로 처리된 문서만 허용하는 정책을 추진




  ○ 인터넷 활용도를 e-mail, 웹, 홈페이지 부문에서 분석하면 하위그룹은 웹 컨텐츠와 언어의 제약 및 통신 인프라의 미비와 고가의 사용료로 인하여 활용 수준이 낮음




  ○ 역내 중소기업에서의 정보화 도입 준비도는 상위?하위그룹 구분 없이 활용인지도는 높으나 변화수용과 표준화는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도입효과를 BSC 모델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학습효과는 높으나 고객만족 부문에서 하위그룹은 내부정보화에 치중한 결과 정보화 도입효과가 매우 낮게 나타남




  ○ 정보화촉진 영향요인으로 상위그룹은 대상 기업 모두가 브로드밴드를 사용하고 있고 사업파트너로부터 정보화 압력을 받아 구매시스템을 활용하며 협회와 같은 민간기관에 의하여 정보화 지원을 받고 있는 반면,




    - 하위그룹은 브로드밴드 사용이 60%에 그치고 사용료도 상당히 고가이며 구매시스템의 활용도 매우 낮은 상태이고 지원기관의 역할도 미약한 것으로 조사됨






본 조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은 APEC 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실태 개선 및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공동노력을 제안함




  ○ APEC 레벨에서의 정기적인 협력 관계 증진의 일환으로 ’e-APEC Readiness'와 같은 공동 프로젝트와 APEC 중소기업실무그룹에 정보화 서브 그룹 신설할 것을 제안




    - 유럽위원회가 실시하고 있는 ‘유럽 e-비즈니스 보고서’나 영국 통상산업부(DTI)가 매년 발행하는 ‘정보시대의 비즈니스: 국제 벤치마킹’은 다수 국가들의 정보화 관련 공동연구 결과임. 이와 유사하게 한국을 비롯한 관심 있는 APEC 회원국이 모여 'e-APEC Readiness' 사업을 전개할 것을 제안




    - 또한 상호 학습과 APEC 역내의 협력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금번 ‘2004 APEC 중소기업 정보화정책포럼’과 같은 모임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것을 제안




    - 한편, 포럼과 같이 한정된 시간에 발표되는 각 APEC 회원국의 성공적인 정책들을 효과적으로 역내에 전파하기 위하여 정부나 비정부 지원기관 리더들에게 e-리더 과정을 교육할 것을 제안

담당부서소통홍보팀 담당자김민철 팀장 전화번호 044-300-0720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시나요?

페이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