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리스트 상세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알림마당>기정원소식 상세페이지 - 제목, 내용, 작성자, 조회수 등등

[보도자료] 생산정보화, 지원기업 당 평균22%의 업무능률 향상
작성자 정**** 작성일 04/07/07 (12:07) 조회수 5091



















중소기업정보화

경영원


보 도 자 료


담당부서


정책연구부


담 당 자


주석정 연구위원

양훈화   연구원


전화번호

e-mail


02-3787-0434

(hhyang@kimi.or.kr)


이 보도자료는 2004년 7월 8일 (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영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mi.or.kr)에서도 보도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지원기업당 평균 22%의 업무능률 향상 효과




생산자원, 생산공정 및 수요자 요구가 다양화, 복잡화됨에 따라 생산현장의 정보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국내 제조업의 생산정보화 수준은 초보적인 단계임.


  - “생산정보화(e-Mnaufacturing)"는 생산자 주도에서 소비자 주도로,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 등 급변하는 생산형태에 적극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음.


  - 원?부자재,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이 점차 복합화 되어가는 생산현장의 투명성 및 생산성 제고에 필수요소로 부각.




□ 중소기업청(청장 유창무)과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원장 백낙기)이 시행한 2003년 생산정보화 지원사업의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축된 생산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효과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데이터 입력시간 감소는 업체당 평균 39.7%의 향상효과를 나타냈으며, 서류작업 시간 감소 39.0%, 정보분석 비용 감소 38.0% 등 생산성 및 업무능률에서 업체당 평균 22%의 향상효과가 나타남.


  - 사전진단 및 외부감리제도의 도입으로 사업수행과 구축시스템의 질적 향상부문에서도 만족도가 크게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이같은 긍정적인 시스템 구축효과에도 불구하고 생산정보시스템 구축시 애로사항으로 전담인력 부족(32.2%), 업무표준화 미비(26.8%), 예산부족(20.8%), 임직원마인드 부족(10.7%)등의 순으로 응답하여 전담인력 확보와 업무표준화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지원기간 및 규모 확대 지원, 연계시스템 구축시 추가 지원등을 희망함.


  - 조사대상기업들이 계획하고 있는 향후에 필요로 하는 정보화 분야는 SCM이 48.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EM(31.8%), PDM(16.4%)의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지원범위 및 내용을 생산현장 밖과의 연계까지 확대하고 기 지원기업 중 시스템 활용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생산정보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한 확대 지원이 긴요한 것으로 평가됨.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홈페이지(www.kimi.or.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정보화사업부 생산정보화팀 최진석 선임연구원 02-3787-0481)

담당부서소통홍보팀 담당자김민철 팀장 전화번호 044-300-0720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시나요?

페이지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