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리스트 상세[보도자료]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대기업의 74% 수준 | |||||
작성자 | 중**** | 작성일 | 02/07/11 (12:07) | 조회수 | 5601 |
---|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대기업의 74% 수준
- 2002년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 결과 -
□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아직 가시적인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기에 미흡한
수준이며, 대기업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청(廳長: 李錫瑛)이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 의뢰하여 지난 4
월부터 3개월간 1,500여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ㆍ 중소기업 정보화(100점 기준)는 지난해(47.8점)보다 향상된 48.6점으
로, 단순 개인업무에서 고객업무 등으로 확대되는 “업무효율화 단계”이
며,
- 정보화 추진의지가 높고, 시스템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정보화
조직,인력 등의 여건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대기업(37개사 조사결과)과 비교시 중소기업 정보화는 74%수준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ㆍ 정보화 투자효과는 규모의 경제가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중소기업간 정
보화 격차 해소를 위해
- 중소기업 부문에 대한 정보화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투자여건 개
선 등 정부 차원의 지원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금번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는 정보화 의지, 환경(인력, 조직, 투
자), 시스템 구축, 활용수준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조사되었음
ㆍ 정보화 추진의지는 지난해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으나,
- 아직도 정보화 추진계획 수립(22.4%), 투자 타당성 분석(14.3%) 등의
실천은 미약하며
- 특히, 정보화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대기업에 비해 현격히 저조
한 실정임
ㆍ 다음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환경은 매우 취약한 편임
- 정보화 전담부서를 두고있는 기업은 ⅓에 불과하며, 필요인력의 30%
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됨
- 정보화 투자는 정보화 마인드 제고 등으로 확대(매출액 대비 1.98%)되
고는 있으나, 절대 규모는 부족한 것으로 보임
ㆍ 한편, 네트워크 등 전반적 시스템 구축은 양호한 편이나
- 아직, 회계,인사,판매 등 단위업무 위주로 이용되고 있어, 생산,설
계,ERP 등 통합업무에의 활용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ㆍ 정보시스템의 활용 수준에 있어서는 PC를 활용한 업무처리 시간 단축,
기술,시장 정보 검색 등 네트워크 활용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 EC, CALS 등 기업간 네트워크 활용은 극히 저조함
ㆍ 위와 같이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용이 저조한 것은 매출증대에 대
한 신뢰부족(49.7%), 정보화 기반구축 미흡(24.1%) 등에 기인한 것이나,
- 많은 기업들이 향후 3년 내 전자상거래를 추진할 계획(43.5%)인 것으
로 조사됨
□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의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는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26.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ㆍ 정부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 자금지원(36.4%), S/W 및 기술 보급 지원
(24.0%), 전문인력 지원(14.4%), 교육지원(10.3%), 세제 지원(10%) 등을 희
망함
□ 그간 정부의「3만개 중소기업 IT화 사업」등 적극적인 지원시책에 힘입
어 기초S/W보급/확산 등으로 전반적인 정보화 의지는 높아지고 있으나,
ㆍ 정보화 투자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자금,인력 부족 등으로 중소기업
부문의 정보화가 획기적으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음
- 특히, IT기업 등을 제외한 전통제조업 영위 중소기업의 정보화 추진
은 더욱 미흡한 실정임
ㆍ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의 정보화의지가 고양되고 있는 만큼, 금번 조사
결과 나타난 정보화추진 저해요인 해소를 위한 지원시책을 지속적으로 전개
해 나갈 계획임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파일 다운로드
중소기업정보화수준평가요약(2002).hwp (139.7 KB)